본문 바로가기
  • 동하의 힘찬새발걸음(하와이 할레아칼라)
  • 네바도 데 똘루까
  • 황룡
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생명과 환경) 대학로 보충수업 때 불러준 예상문제라고 합니다.

by 멋진동하 2007. 4. 21.
728x90
반응형
 

생명과 환경

(대학로 보충수업 때 교수님이 불러주신 예상 문제입니다. 이것만 암기하여도 무난히 시험을 치를 수 있겠군요. 선생님들 파이팅입니다 *^^*)


1) 유사한 종사이의 경계 뿐만 아니라 유사성이 전혀 없는 종 사이의 경계를 허물어 버리고 서로 섞는것은 / 유전자 이식


2) 유전병이 어떤 특정한 유전자의 결함에 의한 것임이 판명되었을 때 인체에 정상 유전자를 주입하여 결함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 대치하거나, 대치까지는 못하더라도 정상 기능을 발휘하는 유전자를 주입함으로써 신체 기능을 정상으로 만들려는 시술법 / 유전자 치료


3) 체외수정으로 생성된 초기 배아로부터 세포를 떼어 내어 핵 속의 염색체에 담겨있는 유전자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는 것은? / 착상 전 유전자 진단


4) 상실의 아픔을 치유할 목적으로 복제된 것 / 복제고양이 씨씨 (copycat, carbon copy)


5) 생명공학자들은 돼지 장기에 대한 거부반응을 완화하기 위해 돼지 혈관세포 표면의 당분자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제거하는 ‘녹아웃 돼지’ 를 만들거나, 인간에게 좀 더 가까운 인간 유전자를 이식 받은 돼지를 만드는 연구에 열중하고 있다.


6) 인간의 다양한 기관으로 성장해 갈 수 있는 원형세포 / 줄기세포


7) 유전공학 생식 등 새로운 생명공학의 발달로 인한 문제를 정리하고 그것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 ①생물종 경계 해체 - 새로운 생명공학은 지금까지 종이라는 테두리 속에 단단히 자리잡고 있던 생물종을 모호한 것으로 뒤섞고, 생물과 인간을 점점 상품과 같은 것으로 만들고, 더 나아가서 생명의 존엄이나 인간의 존엄과 권리에 대한 우리의 판단기준을 아주 모호하게 만들고 말 것이다.

 - ②정체성 혼란  - 다른 사람으로부터 심장을 받은 사람이 그 심장의 원 소유자로부터 정신적인 영향을 받는 일이 있다는 보고에서 볼 수 있듯이 돼지의 심장을 지닌 사람이 정신적.심리적으로 아무런 변화를 겪지 않는다는 장담은 할 수 없다. 이 경우 인간의 정체성이란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는데, 어떤 사람이 심장뿐만 아니라 심장, 허파 등 상당수의 장기를 돼지 등의 동물로부터 얻었을 경우 그 사람의 정신은 인간 정체성의 혼란이라는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③가치관 혼란 - 인간 배아 복제및 인간복제 연구는 인간의 발생과정과 같은 과학지식상의 중요한 발전은 물론 다양한 사회공리적인 효과 또한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인간배아복제가 가져올 수 있는 사회적 역기능에 대해서 충분한 검토와 사회적인 논의가 이루워져야 한다. 인간배아복제로 인한 의료기술의 향상은 빈부의 격차 만큼이나 의료 써비스의 격차를 만들어 낼 것이다.  또한 장기적으로 인간 장기의 복제 혹은 인간 차체의 복제까지 기술이 발전한다면 인간의 존엄성 홰손, 인간 삶의 존엄성의 홰손될 것이다. 인간 복제는 인간을 언제든지 재생산 할 수 있는 도구적인 존재로 여김으로써 개인의 가치나 존엄성을 홰손하는 결과를 낳는다.

 - ④사회적 혼란 -인간배아복제 연구를 통한 다양한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은 그 자체가 인류 공익을 위해 사용되는것이 아니라 상업적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심각성이 있다. 이것은 모든 인간의 장기와 나아가서는 인간 자체를 시장에서 마치 더 좋은 상품을 고르려는 것과 마찮가지로 그 우성과 열성의 유전자들 가운데에 가격이 매겨지고 매매되는 대상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다.


8) 인간 복제와 인간 배아복제로 인한 정체성 혼란에 대해 논하시오.

  첫째 어떤 한 개인을 복제할 경우 복제된 인간이 누구인가의 정체성에 혼란이 온다. 복제 대상과 같은 유전정보와 생김새를 가졌으나 쌍둥이도 아니며 부모나 형제도 아니고 그 자신도 아닌게 되는 전혀 새로운 개체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둘째, 인간 상품화의 위험이 있다. 신체교체용으로 사용되는 복제인간들 또한 인간수명연장이라는 미명하에 새로운 복제인간들이 만들어진다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잃게 되어 인간을 단지 인형이나 애완동물 정도로 생각하는 상품화가 진행될 위험성이 있다.

  셋째, 상업적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심각성이 있다. 이것은 모든 인간의 장기와 나아가서는 인간 자체를 시장에서 마치 더 좋은 상품을 고르려는 것과 마찮가지로 그 우성과 열성의 유전자들 가운데서 가격이 정해지고 매매되는 대상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다.

9) 유전공학자들이 동물장기이식에서 그 대상을 원숭이로 할 수 없고 돼지로 꼽는 이유를 서술 하시오 (4장 44쪽 동물 장기이식의 역사 )

 - ①경제적이유 - 장기적출용으로 사용된 비비 원숭이의 경우 임신가능연령에 도달하려면 3~5년이 걸리고 다 자라는 데는 9년이 걸린다. 게다가 한번 임신에 보통 한 마리 밖에 태어나지 않고, 임신기간도 6개월이나 된다. 이런 조건이라면 해마다 10만 마리까지 모두 수십만 마리가 된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수의 원숭이를 키워내고 유지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엄청난 비용을 요한다.

 - ②심리적이유 - 원숭이는 생김새가 인간과 가깝다. 이들을 대량으로 죽여서 장기를 꺼내 쓰는 것은 동물애호가는 물론 일반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게다가 이들 영장류는 멸종 위기에 처해있는 보호동물이다.

 - ③병리학적이유 - 야생 원숭이가 인간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에이즈를 발병시키는 HIV바이러스 및 헤르페스 B바이러스 등도 원숭이로부터 온것이다. 원숭이의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이 미지의 병에 걸릴 수 있는 것이다.

   원숭이에 비해서 집돼지는 경제적으로 아주 값싸게 장기를 제공할 수있다. 태어난지 100일 가량되면 새끼를 낳을 수 있고, 그 수도 10마리나 된다. 완전히 성장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6개월이면 충분하다. 이때 도달하는 체중도 100KG정도가 되기 때문에 장기의 크기도 인간에게 적당한 것이 얻어진다. 어차피 잡아먹을 목적으로 사육되기 때문에 장기제공용으로 도살되어도 사람들의 반발이 없다. 또한 돼지와 인간은 곁에서 함께 생활하는 동안 서로 상대의 병균에 감염되고 적응되는 과정을 거쳤다.

출처 : 방송대이야기
글쓴이 : 노란 파프리카 원글보기
메모 :
728x90
반응형